최근 5월 주요 시중은행의 가계대출이 4조원 이상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준금리 인하 및 오는 7월 시행되는 3단계 스트레스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제도 도입을 앞두고 '영끌'과 '빚투' 수요가 크게 늘어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이러한 변화는 가계대출 시장에 미치는 영향과 금융기관의 대응을 주의 깊게 살펴보아야 함을 시사한다.
가계대출 증가
최근 5대 시중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이 급격히 증가하며 이목을 끌고 있다. 특히 KB국민, 신한, 하나, 우리, NH농협 등 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지난달 29일 기준으로 747조2956억원에 달하며, 이는 4월 말의 743조848억원과 비교할 때 무려 4조2108억원 증가한 수치이다. 이러한 가계대출 증가는 5대 은행이 지난 3월 1조7992억원, 4월 4조5337억원의 증가세를 이어온 가운데, 두 번째 연속으로 4조원을 넘는 증가폭을 기록한 것이다. 주택담보대출 잔액 또한 놀라운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5월의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592조5827억원으로, 전월 대비 3조1527억원의 증가 폭을 보였다. 신용대출도 예외가 아니며, 103조5746억원으로 전월 대비 1조815억원 증가하여, 이는 지난 2021년 7월 이후 가장 큰 증가폭으로 평가된다. 이러한 상황은 모두가 주목해야 할 중요한 변화임에 틀림없다. 또한, 최근의 증가세는 다양한 요인에 의해 촉발된 것으로 보인다.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과 같은 부동산 시장 규제가 가계대출 증가에 기여한 것으로 분석되며, 금리인하와 3단계 DSR 규제 시행 등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하고 있다. 특히, 이러한 분위기는 대출 수요를 늘리는데 큰 역할을 하고, 이에 따른 막차 수요 역시 가시화되고 있는 가운데, 각 은행에서는 비대면 주택담보대출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신청 마감이 조기 되는 현상도 발생하고 있다.금리인하와 DSR 영향
기준금리의 인하가 가계대출의 증대에 미친 영향은 무시할 수 없다. 현재의 저금리 상황은 투자자들로 하여금 대출을 통한 투자 수요를 자극하며, 이는 '영끌' 및 '빚투'라는 용어로 표현되는 현상으로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트렌드는 특히 젊은 세대들 사이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며,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은 곧 대출의 증가로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 또한 3단계 스트레스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규제의 도입이 예상되는 만큼, 이는 대출 한도를 줄이려는 많은 대출자들에게 긴박감을 초래하고 있다. DSR 규제가 시행되면 수도권 주택담보대출 한도가 기존보다 1000~3000만원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므로, 이를 산정하며 대출을 미리 받고자 하는 수요가 비약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런 상황은 금융기관에 더욱 압박을 가하게 되며, 대출 수요의 증가로 각 은행에서 비대면 주택담보대출 신청이 쏟아지고 있다. 이처럼 한정된 대출 한도가 설정되기 전에 대출을 받으려는 소비자들에게 기존보다 유리한 조건으로 대출을 승인하고자 하는 쏠림 현상은 더욱 뚜렷해지고 있다.금융기관의 대응 및 결과
금융기관들은 이러한 가계대출 증가세에 맞서 다양한 전략을 모색하고 있으며, 특히 금리인하에 따른 대출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비대면 서비스를 강화하고 있다. 이는 대출 소비자에게 편의를 제공하면서도 동시에 신청 건수가 많은 상황에서 대출 한도를 확보하기 위한 방법으로 볼 수 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금융회사들의 월별 및 분기별 관리목표 준수 여부를 철저하게 모니터링할 것"이라고 언급하며, 필요 시 즉각적인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금융기관들이 현재의 대출 증가세를 지속적으로 감시하고 있으며, 향후 발생할 수 있는 리스크에 대한 준비를 철저히 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결론적으로, 현재의 가계대출 증가세와 금리인하, DSR의 시행은 가계의 재정적 여건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향후 대출 시장에 대한 조정이 반드시 이루어질 것으로 보인다. 대출을 고려하는 소비자들은 이러한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정보에 기반한 결정을 내리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결론적으로, 최근 주요 시중은행의 가계대출 폭증 현상은 금리 인하와 DSR 규제 대응을 포함한 다양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나타났다. 금융 기관과 소비자들 모두 상황 변화에 주의하여 조정하고 대응할 필요가 있다. 앞으로의 대출 환경과 정책 변화에 대한 세심한 관찰이 요구되며, 이를 통해 보다 나은 금융 결정을 내리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